본문 바로가기
일상

임신성 당뇨 관리

by we-know-all 2025. 2. 10.

임신성 당뇨는 24주~28주 사이에 2단계 진단법을 적용하여 검사를 합니다.
1단계는 50g 당 음료를 복용하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고 당부하 검사에서 이상이 있을 경우,
재 검사를 진행해야 하며, 임신성 당뇨 재 검사(2단계)에서는 100g의 당 음료를 복용하여 당부하 검사를 진행합니다.
 
※ 이때, 중요한 부분은 검사에 통과하기 위해 일시적 조절을 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낮추는 행위를 하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해당 검사는 합격/불합격의 목적이 아니라 산모와 태아의 건강한 출산을 위해 검사하고 경과를 지켜보면서 발생하는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검사방법 50g 경구당부하검사 100g 경구당부하검사
공복시 혈당 - 95 mg/dL
1시간 혈당 140 mg/dL 180 mg/dL
2시간 혈당 - 155 mg/dL
3시간 혈당 - 140 mg/dL (옵션)

※임신성 당뇨 진단 기준 : 50g 당부하검사에서 혈당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100g 당부하검사를 진행하고 당부하 검사에서 1개(2개) 이상 비정상일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 임신성 당뇨병 합병증

  1. 태아기형
  2. 거대아
  3. 임신성 고혈압
  4. 조산
  5. 신생아 저혈당 등

 
● 관리 방법
식단 조절을 하면서 혈당관리를 해야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식사순서 입니다.
※ 식사 순서는 채소 → 단백질 → 탄수화물 순서로 진행하셔야 식후에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는걸 방지해 줍니다.
 
그리고 본인의 현재 상태에 맞는 열량(kcal)를 선정하고 그에 맞게 식단을 설정하면 됩니다.
임신성 당뇨라고 하여 무조건 적게 먹는것은 케톤수치를 향상시켜 태아와 산모의 건강에 더 해로울수 있기 때문에 최소 1,700kcal를 넘는 식단으로  식단을 운영하길 권장 드립니다.
 
저는 1,800kcal 기준으로 식단을 운영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표를 구성하여 하루 식단을 최대한 따르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첨부파일로 넣어 드렸으니 상단에 파란색 음영 처리된 부분만 본인의 목표 열량에 맞춰 필요한 열량을 입력하시고 하기 표를 참조하여 식단을 운영하시면 됩니다.)
 
※ 식단 운영의 예 :목표 열량 1,800kcal 아침 기준, 잡곡밥 1/3공기+고등어 구이 소 1토막+계란 1개+당근 1/3개+오이 1/3개를 하기 표를 참조하여 드실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하실 부분은 채소를 드실때 맛이 없어서 장이나 드레싱을 함께 드시는 경우가 있는데 당과 드레싱에는 많은 양의 당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저당 소스를 사용하여 드시기를 권장합니다.

※ 구글에 '식품교환표'라고 검색하시면 식품별로 정보가 많이 나오니까 표 참조하셔서 다양하게 식단 조절하면서 즐거운 식단 조절을 하시기 바랍니다.
 
임신성 당뇨가 생겨서 죄책감과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우울감에 빠진 분들이 많으실 꺼예요.
우리는 미리 임신성 당뇨의 위험성을 알고 관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도 스트레스 받으실 필요 없습니다.
식단 관리 잘하셔서 모두 건강하게 순산 하시기 바랍니다.
 
아내가 임신성당뇨 진단을 받고 힘들어 하던날 아내에게 전해준 글귀를 공유 드립니다.
우리의 아기들은 꽃 피어야만하는 꽃입니다. 아무 걱정하지 마시고 힘내셔서 식단 관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꽃 피어야만 하는 것은, 꽃핀다.
자갈 비탈에서도 돌 틈에서도
어떤 눈길 닿지 않아도.
- 라이너 쿤체 <녹슨 빛깔 이파리의 알펜로제에서> -

임당식단1.pptx
0.2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