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젖병 소독기를 고르기위해 공부하다가 알게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적어봅니다.
젖병 소독기를 고르고 있는 예비 부모님들이 보시고 결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젖병 소독법 : 대표적인 소독법은 크게 4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젖병 소독기 선택을 위해 첫번째로 소독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1) 열탕 소독
2) 스팀 소독
3) 약품 소독
4) UV 소독
재질 | PPSU | 실리콘 | PP | 유리 |
내열온도 | 180℃~200℃ | 200℃ | 100℃~120℃ | 120℃ |
열탕소독 | △ | △ | △ | O |
스팀소독 | O | △ (미세플라스틱 우려 있음) |
△ (미세플라스틱 우려 높음) |
O |
약품소독 | O | O | O | O |
UV소독 | △ | △ | △ | O |
※ 중요 : 열탕 소독시 젖병을 찬물에 넣고 끓이지 않고 끓인 물에 넣고 소독해야 합니다.
우선, 가장 오래된 방법이자 전통적인 소독 방법인 열탕 소독을 알아보겠습니다.
● 열탕 소독 :
큰 냄비에 수돗물을 넣어 끓이고 젖병(PPSU/실리콘/PP/유리),젖꼭지(실리콘),후드&캡(PP)을 각각 재질별 열탕 온도와 시간에 맞게 소독을 진행합니다.
재질 | PPSU | 실리콘 | PP | 유리 |
열탕 시간 | 3~5분 이내 | 3~5분 이내 | 30초 이내 | 3~5분 이내 |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PPSU/실리콘/PP 열탕 소독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기 때문에 PPSU 또는 실리콘을 열탕소독 우선순위로 두고 다시 한번 물을 끓여 미세플라스틱을 날리거나 물을 새로 받아 끓여 마지막으로 PP재질을 열탕하는걸 추천 드립니다. (PP가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열탕 이후 젖병,젖꼭지,후드&캡을 건질때는 요리에 사용하는 집게보다는 부드러운 재질의 멸균된 전용집게를 사용하여 스크레치 발생으로 인한 세균 번식을 방지 하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UV 소독을 알아보겠습니다.
UV소독
젖병 고르기에서 말씀드린것 처럼 UV광선은 플라스틱의 변형/변색을 가속 시키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플라스틱 젖병↔UV 소독기 조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만 가장 현대화되고 효과적인 소독 방법입니다.
UV소독은 UVC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박테리아 등을 살균하는 방식의 소독방식이며, UV소독기에는 UVC램프 또는 UVC LED가 사용됩니다.
UVC 램프의 경우, UVC LED에 비해 자외선 광량이 높아 살균에는 유리하지만, 교체주기가 짧고(약 6개월) 램프에 수은이 포함되어있고 오존이 발생된는 단점이 있습니다.
UVC LED는 UVC 램프에 비해 자외선 광량이 적어 살균에는 다소 불리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이지만, 반영구 사용이 가능해 교체주기가 길고 수은이 포함되지 않고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대부분의 UV 소독기는 UVC LED를 적용하였고 비교적 낮은 자외선 광량을 보완하기 위해 LED 부착 수량을 증가시켰습니다.
● 결론 : 젖병소독기도 아직은 정하지 못했지만 PPSU 젖병을 UV소독기로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유해물질 정보만 확인 된다면 젖병은 PPSU, 소독기는 UV소독기로 결정 할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업데이트 사항이 있거나 결론이 내려진다면... 글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예비 부모님들 다들 화이팅 하세요!!!
'육아용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 아빠의 꼼꼼한 베이비로션 성분 분석: 우리 아기 피부는 소중하니까! (0) | 2025.03.27 |
---|---|
분유포트 고르기 (0) | 2025.02.18 |
젖병 고르기 (2) | 2025.02.05 |